오늘의 트렌드

‘오징어게임2’ 수익 1조 5천억 원? 넷플릭스의 입장과 숨겨진 진실

SEONPORT 2025. 1. 2. 14:03
728x90
반응형

넷플릭스가 전 세계적 관심을 받고 있는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 시즌2(이하 ‘오징어게임2’)의 예상 수익이 1조 5천억 원에 이를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 공식적으로 부인했습니다. 개별 작품의 흥행이 구독형 서비스의 수익과 직결되지 않는다는 설명과 함께, 수익 구조와 콘텐츠 성과 평가 방식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자 한 것입니다.

 

이미지출처: 넷플릭스

 


넷플릭스의 수익 구조와 '오징어게임'의 성공

넷플릭스는 월정액 기반 구독형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정해진 금액을 지불하고 넷플릭스의 방대한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시청할 수 있는 모델입니다. 이에 따라 개별 작품의 시청 시간이나 인기 여부가 추가적인 수익으로 바로 연결되지 않습니다.

 

넷플릭스는 공식 입장에서 “개별 작품으로 인한 금전적 수익을 추산하거나 이를 기준으로 성과를 평가하지 않는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박스오피스나 단건 결제 기반의 VOD 서비스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수익 구조를 보여줍니다.

 

'오징어게임' 시즌1은 제작비 약 250억 원으로 약 1조 원의 수익을 냈다는 분석이 있었지만, 넷플릭스는 이러한 계산이 정확하지 않으며 회사의 수익 구조를 오해한 결과라고 설명합니다.


‘오징어게임2’의 시청 시간과 성과

‘오징어게임2’는 시즌1의 기록을 넘어섰습니다. 넷플릭스의 공식 집계에 따르면, 시즌2는 공개 첫 주 4억 8760만 시간의 시청 시간을 기록하며 비영어권 TV 부문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영어권 TV 및 영화 부문과 비교해도 압도적인 기록입니다.

  • 시즌1과의 비교: ‘오징어게임1’은 공개 첫 주 5억 7176만 시간의 시청 시간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습니다. 시즌2는 이 기록에 이어 주간 시청 시간 역대 2위에 올랐습니다.
  • 글로벌 인기: 이러한 수치는 ‘오징어게임2’가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여전히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넷플릭스는 “시청 시간과 수익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고 강조하며, 콘텐츠의 흥행 성과를 단순히 금전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에 대해 우려를 표했습니다.

 

반응형

잘못된 분석이 불러오는 문제점

넷플릭스는 잘못된 분석이 기업 구조와 콘텐츠 성과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를 확산시킬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1. 구독형 모델의 오해: 월 구독료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넷플릭스의 구조는 특정 콘텐츠의 수익성을 개별적으로 계산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2. 성과 평가 기준: 넷플릭스는 작품별 수익성을 기준으로 평가하지 않으며, 이는 기존의 박스오피스 모델과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3. 정보 확산 문제: 미디어와 연구 기관의 잘못된 분석은 넷플릭스의 비즈니스 모델과 작품의 성과 평가 방식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미지출처: 뉴시스

 


‘오징어게임2’의 진정한 성과와 미래

‘오징어게임2’는 수익성과 별개로 글로벌 문화적 파급력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넷플릭스는 이를 통해 단순한 시청 기록을 넘어 한국 콘텐츠의 가치를 세계적으로 입증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지속적으로 월 구독료를 기반으로 세계 각국의 고유한 문화를 담은 콘텐츠를 제작하며, 이는 단순한 상업적 성공 이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가집니다. ‘오징어게임’ 시리즈는 이러한 전략의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됩니다.

  • 글로벌 진출의 모델: '오징어게임'은 넷플릭스가 비영어권 콘텐츠로 세계적 성공을 거둘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한국 콘텐츠의 위상을 높였습니다.
  • 장기적 효과: 콘텐츠의 직접적인 수익 외에도 넷플릭스는 구독자 증가, 브랜드 이미지 강화, 그리고 글로벌 콘텐츠 제작 역량 증대를 통해 장기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오징어게임2'는 수익 이상의 가치를 지닌 콘텐츠

‘오징어게임2’는 단순한 수익 계산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콘텐츠의 입지를 다지는 데 기여한 작품입니다. 넷플릭스는 이를 통해 구독형 서비스의 본질과 콘텐츠 제작의 방향성을 다시 한번 명확히 했습니다.

 

잘못된 분석이 불러오는 혼란을 막기 위해, 기업과 언론은 정확한 데이터와 구조를 기반으로 콘텐츠의 성과를 평가해야 합니다. ‘오징어게임’의 성공은 그 자체로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넷플릭스가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더 많은 창의적 작품을 선보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