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있는 투자 뉴스

2025년 아시아 암호화폐 시장에서 주목할 점은?

SEONPORT 2025. 1. 8. 08:41
728x90
반응형

2025년 아시아 암호화폐 시장은 디지털 위안의 확산, 한국 기관투자 활성화 지연, 그리고 싱가포르와 홍콩 간의 허브 경쟁 등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암호화폐 생태계의 기술 발전과 규제 변화가 맞물리며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가는 동시에 각국의 전략적 대응을 시험하는 해가 될 전망이다.

 

 

 


중국의 디지털 위안, 국제 확산의 새 국면

2025년, 중국의 디지털 위안 프로젝트가 국제적 확산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BRICS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디지털 위안을 국제 결제 시스템에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 2024년 신중한 행보: 중국은 2024년 홍콩 소매 결제 시스템에 디지털 위안을 도입하며 테스트 단계에 있었다. 그러나 초대 소장 야오첸의 비위 혐의와 해임으로 프로젝트의 신뢰성이 흔들렸다.
  • 2025년 전략적 확대: 시진핑 주석은 금융 주권 강화를 목표로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확장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상하이는 디지털 위안을 중심으로 한 금융 허브 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중국의 디지털 위안은 국제 결제와 금융 혁신의 중추적 역할을 목표로 하며, BRICS 협력과 연계된 전략적 실행이 예상된다.


한국: 기관투자 활성화의 장애물

2024년 전 세계 화폐 거래량에서 가장 높은 원화 거래량을 기록한 한국은 개인 투자 중심의 시장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기관투자 활성화는 여러 규제적 제약으로 인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 규제적 장애물: 실명계좌 발급 제한과 자금세탁방지 규정이 기업 계좌 개설을 어렵게 하고 있다.
  • 세제 개편 필요성: 20% 암호화폐 과세는 2027년으로 연기되었지만, 세제 개편 없이는 기관투자 활성화가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크립토퀀트의 주기영 대표는 한국이 국제 시장에서 빠르게 도약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실행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평가했다.

 

반응형

 


싱가포르와 홍콩의 암호화폐 허브 경쟁

아시아의 두 거대 금융 허브인 싱가포르와 홍콩은 암호화폐 시장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 싱가포르의 전략:
    • 2024년 주요 거래소들에 규제 승인서를 발급하며 안정성을 강화.
    • 토큰화 자산 및 탈중앙화 금융(DeFi) 분야에서 발전.
  • 홍콩의 대응:
    • 소매 투자자 규제 해제 및 ETF 출시.
    • 고액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세제 혜택 검토.

홍콩은 동서양을 잇는 디지털 자산 허브로 부상하며 경쟁에서 앞서 나가려 하고 있다. 이는 규제 환경의 유연성과 글로벌 투자자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접근에서 비롯된 결과로 보인다.

 

 

 


디파이와 게임파이, 아시아 블록체인 혁신의 중심

2024년, 아시아는 탈중앙화 금융(DeFi)과 게임파이(GameFi)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블록체인 기술 혁신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 일본의 블록체인 게임 개발: 오아시스는 유명 게임 스튜디오와 협력해 블록체인 기반 게임을 준비 중이다.
  • 필리핀의 게임 커뮤니티 성장: 픽셀스(Pixels) 같은 프로젝트가 과거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의 열기를 재현하며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2025년에는 거래 속도 개선과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기술적 혁신이 디파이 및 게임파이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래를 위한 도전과 과제

아시아 암호화폐 시장의 미래는 기술 혁신과 규제 변화가 어떤 방향으로 융합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1. 확장성과 보안성: 블록체인 기술의 안정적 확장이 필요하다.
  2. 글로벌 협력: 디지털 위안과 같은 프로젝트는 국제 협력을 통한 실행이 중요하다.
  3. 사용자 경험 향상: 거래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 과제로 남아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