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에게 올리는 가치주에 대한 정보를 전자책으로 출간했습니다.
가치투자 6대 필수요소, 키움조건식 만드는 법, 기본적인 재무분석과 최종 종목 선정까지!!
가치투자 이 전자책 한 권으로 마스터 하세요.^^(배너를 클릭하시면 구매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어제 포스팅의 내용 중
DMI 설명에서 이런 내용이 있었다.
'DMI는 복잡하고 명확하지 않다는 점으로 인해 단독 사용보다는 ADX(average directional movement index)와 같은 다른 지표들과의 병행이 권고된다.'
그래서 ADX 지표를 같이 포함해보려고 한다.
ADX
오늘의 주가 움직임의 범위가 전일의 범위를 위로 벗어났는지, 아니면 아래로 벗어났는지를 관찰함으로써 시장 참여자들이 매수측에 가담하고 있는지, 매도측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지표이다. 오늘의 고가가 전일의 고가 위에 있다면 이것은 투자자들이 좀더 많이 매수측에 가담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한경 경제용어사전)
'슬기로운 주식생활' 채널(Ch+)을 추가하시면 주식, 코인, 경제뉴스, 시황 뿐아니라 여러분의 투자에 도움을 드리는 관심종목까지 매일 한번에 체크!! 노란색 배너를 클릭하시고 채널추가 버튼 클릭!!
어제 테스트 항목에
2차 우선순위에 ADX 지표를 넣어보려 한다.
ADX 선이 ADX 3일 평균선 위에 있는 조건이다.
2차 우선순위에서는
{DMI(ADX)}/이동평균({DMI(ADX)},{3일}) 값이 높은 순[내림차순]으로 했다.
이 값이 높다는 것은 결국 ADX 선이 ADX 3일 평균선 위에 있다는 것이니까...
이렇게 하고 결과를 보자.
매수, 매도 설정은 똑같기에 제외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포트정보
DMI 지표 테스트보다
누적 수익률과 연복리 수익률은 약간 높다.
그러나 MDD, 승률을 포함해 거의 차이는 없어보인다.
매매결과
역시 매매결과 거의 차이가 없다.
1% 정도의 차이는 뭐...없다고 봐야.^^
매수 조건식 설정
2차 정렬사용에 체크하였고,
{DMI(ADX)}/이동평균({DMI(ADX)},{3일})을 넣었다.
나머지는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보면
큰 차이는 없는 듯 하다.
약간의 보완만 해주는 수준으로 보인다.
DMI 지표와 ADX 지표
어떤 것을 사용해도 역시 양념처럼...
단기투자라면 3일, 5일 평균값.
중장기투자라면 20일 이상 평균값을 사용하시기 바란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공감(하트), 댓글 부탁드립니다.^^
NEXT...
투자자별 순매수량 평균값을 활용방법
https://seonlife.tistory.com/175
'젠포트 전략 팁[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젠포트에서 순매수량 평균값 활용 (18) | 2022.02.15 |
---|---|
젠포트에서 DMI 지표 테스트[1년] (19) | 2022.02.07 |
젠포트에서 BPS, EPS 조건 활용법 테스트[1년] (16) | 2022.01.20 |
젠포트에서 영업, 투자, 재무활동 현금흐름 (12) | 2022.01.19 |
주식투자에 유용한 경제지표 (27) | 2022.01.14 |